안녕하세요. 케빈입니다.
새해의 시작을 잘 하고 계신지요?
이번에는 기업이 상장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를 해볼 건데요.
뭐,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 그냥 뭐 가끔 우리는 기업이 왜 상장하는지 조차 모를 때가 있단 말이죠.
그래서 한 번 상장 이유를 적어보겠습니다.
1. 일반인들로부터 필요 자금 조달이 쉽다.
주식시장에 기업의 주식을 상장하게되면, 유상증자, 전환사채, 교환사채, 해외DR 발행등을 통해서 일반인 투자자들에게 자금 조달이 쉽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되겠죠.
2. 기업 홍보 효과.
아무래도 상장하게 되면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됩니다.
여러분들도, 상장법인 같은 경우는 잘 알고 계신 것과 달리, 비상장 법인은 잘 모르시죠.
이런 인지도가 높아지게 되며, 아무래도 각종 사업을 추진해나갈 때도 기업의 입장에서는 유리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나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야!"
라고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겠죠?
또한 각종 대출등을 받을 때도 신용도가 더 높아질 수 있겠죠. (물론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지만요.)
3. 투자자본 수익. (주가 상승)
상장을 하게 되면, 주가 상승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회사를 초기에 설립한 설립자나 비상장 상황에서 투자했던 각종 초기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위의 3가지 이유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나머지 이유들은 좀 부차적이라고 할 수 있겠죠.
기업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는 각종 투자 합병등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상장기업일 경우 그러한 투자 합병에도 용이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기업의 크기를 키우고 싶은 기업들이 상장을 하려고 하는 것이겠죠.
위와 같은 이유로 상장을 하고 싶어하는 기업들도 있지만, 꼭 저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알아서 잘할 수 있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면 구태여 상장을 하지 않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상장기업이 무조건 좋은 기업이고, 비상장기업이 무조건 열등한 기업이다라는 생각은 금물이겠죠.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나 구조조정에 용이하다는 장점들도 언급은 되고 있으나, 그것을 하기 위해서 상장한다고는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것이 무조건 좋다고도 볼 수 없고, 기업 구조를 조정하는 것이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고도 할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위의 3가지 정도의 이유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 비상장 인간 케빈이었습니다.
(상장을 하게 되면 기업이 좀 투명해지지 않아?)
그건 기업주가 알봐 아니지.
투명하게 하든 불투명하게 하든.
(우리사주 분배를 통해 직원들의 애사심 고취...)
직원들의 애사심을 위해서 상장한다?....
그냥 내가 볼 때는 저 위의 3가지 이유가 가장 큰 듯 해.
나머지는 그냥...뭐.
여러분의 공감 클릭과 댓글이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케빈의 주식초보 강의실 > 주식 초보 재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에서 "대주주"의 뜻을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0) | 2019.01.04 |
---|---|
주식 상장의 절차를 간단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4) | 2019.01.03 |
신주인수권부사채 (BW) 의 종류와 행사가액 결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0) | 2018.12.22 |
주식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 (BW)의 뜻을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0) | 2018.12.18 |
전환사채(CB)에 대한 간단한 뜻과 전환가액 계산 방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0) | 2018.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