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케빈입니다.
2019년 3월 둘 째주, 한 주 간의 우리나라 주가지수와 수급분석을 간단하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월 첫째주는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이 좀 주춤했었는데요.
3월 둘째주는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확인해 보도록 해요.
최근 1주일 주가 등락률
코스피 +2%
코스닥 +2%
2019년 1월 초 대비 주가 등락률
코스피 +7%
코스닥 +11%
2018년 11월 초 대비 주가 등락률
코스피 +7%
코스닥 +15%
코스피가 지난주에 -3% 하락을 기록했었는데, 이번주는 다시 2% 상승을 해주었네요.
코스닥은 지난주에 이어서 그대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2019년 누적 +1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위기가 올 듯 오지 않을 듯 계속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 두 시장이네요.
최근 1주일 수급 분석
코스피
개인 -1921
외인 +704
기관 +899
코스닥
개인 -972
외인 +761
기관 +1363
지난 주 개인들이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적극적인 매수를 보여준 것과는 달리,
이번 주에는 개인들이 매도세를 취했습니다.
외인과 기관들이 매수를 하기는 했지만, 많은 양을 매수하지는 않았습니다.
특별한 수급의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2019년 1월 초 부터 수급 분석
코스피
개인 -7284
외인 +9000
기관 -3490
코스닥
개인 -1843
외인 +7782
기관 -1233
2019년 1월부터 수급을 계산해보면, 코스피는 외인, 코스닥도 외인들이 매수세가 강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과 기관의 양매도세도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직 큰 특이사항은 없습니다.
2018년 11월 초 부터 수급 분석 (4개월 간)
코스피
개인 -50993
외인 +41116
기관 +4369
코스닥
개인 +17955
외인 +9079
기관 -20436
작년 11월부터 기준을 잡으면,
여전히 변함없이
코스피는 외인들이, 코스닥은 개인들이 주름을 잡고 있습니다.
이런 큰 그림의 수급에 아직 특이사항이 발생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좀 더 장기적으로 7개월간의 수급을 분석해보면,
코스피는 외인과 기관의 압도적 매수세.
코스닥은 개인의 압도적인 매수세 라는 점이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지난주는 큰 의미의 수급 변동사항이 없었고, 그래서 전반적인 큰 그림의 수급에도 변동이 없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 한달 간,
코스피는 평균 405개 종목 상승, 495개 종목 하락.
코스닥은 평균 572개 종목 상승, 728개 종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주가 왜곡이 별로 없지만,
코스닥은 주가 왜곡이 있어 보입니다.
역시나 테마주들의 급등락과 개잡주들의 상승으로 인한 주가왜곡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코스닥에 주로 진을 치고 있는 개미들로써는, 최근 한달 주가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쉽게 수익을 내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평범한 날들이었다. 큰 문제는 보이지 않는다.)
총평을 하자면
수급의 주체가 바뀌는 등의 큰 변동사항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지난 한 주는 그냥 그런 한 주였다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어쩌면 특별하지 않은 시간들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 다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Written by Kavin
그런데 궁금한게...
개인투자자들이 코스피에서 매수 우위를 점하는 날이 올까?
개인들은 뭐 이거 코스피에 관심이 없네....
'케빈의 주식 칼럼 > 주식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월 22일 우리나라 주식시장 수급 분석. "정신나간 개미들의 절규" (1) | 2019.03.23 |
---|---|
2019년 3월 15일 세계 주식시장 주가 분석. "중국 증시 3000 포인트 돌파?" (1) | 2019.03.20 |
2019년 3월 14일 현재 감사보고서 미제출 기업 리스트 "해태제과식품?" (0) | 2019.03.15 |
2019년 3월 8일. 현재까지 세계 주식시장 최고 상승률 국가는? (0) | 2019.03.14 |
2019년 2월 한달 대차거래 주체 분석. "기관들 이것들이 진짜!" (0) | 2019.03.12 |